본문 바로가기

Contents/주식

[ETF분석] KIWOOM 의료AI ETF

반응형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에 맞추어 투자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그중 트럼프 헬스케어 정책과 관련하여 의료 AI 에 주목해보려 합니다.

 

트럼프 2.0 헬스케어 정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민간 중심의 의료 시스템 강화

1. 오바마케어 축소: 연방정부 주도의 보험제도를 축소하고, 민간 보험사와 의료기관을 통한 서비스 제공을 확대합니다

2. 시장 경쟁 촉진: 개인과 기업이 선택하는 민간보험상품을 중심으로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시장 경쟁을 통해 의료비용 절감을 유도합니다.

3. 건강예금계좌(HSA) 확대: 개인이 의료비를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HSA 사용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약가 정책 개혁

1. 약가 인하와 투명성 강화: 미국 소비자의 약가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강력한 약가 인하 정책을 추진합니다.

2. 최혜국(MFN) 모델 재도입: 글로벌 약가와 비교하여 가격을 조정하는 정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3. 메디케어 약가 협상 권한 강화: 제약회사와의 협상에서 메디케어의 약가 협상 권한을 명확히 할 계획입니다.

규제 완화

1. FDA와 CDC 구조 개편: FDA 승인 절차 간소화와 CDC의 역할 분리를 통해 효율성을 높이려 합니다.

2. 단기 건강보험 플랜 규제 완화: 저렴한 보험 옵션을 제공하여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합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정부의 개입을 줄이고 시장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미국의 헬스케어 시스템을 재편하려는 트럼프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AI가 의료 인프라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며, 앞으로 최소 10년 이상 AI 기업이 산업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료 AI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투자 기회가 계속해서 생길 것임을 시사합니다.


1. 기관 투자자 관심: 루닛과 같은 의료 AI 대표 기업들에 대한 기관과 연기금의 집중 매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주가 상승세: 의료 AI 관련 주식들이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기업들은 단기간에 큰 폭의 주가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해볼 때, 의료 AI 관련 주식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과 함께 현재의 시장 트렌드에도 부합하는 투자 대상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현재 국내 상장된 의료 AI 관련 ETF는 거래량이나 시가총액이 작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TIGER 헬스케어 라는 ETF가 있지만 의료 AI 관련 주식으로 분류되는 기업은 구성종목에 별로 보이지 않아서 다른 ETF를 가져왔습니다. 

 

시가총액이나 거래량이 매우 작은편에 속하는 종목이라 끌리진 않습니다.

 

키움 증권에서 상장한 KIWOOM 의료 AI ETF 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KIWOOM 의료 AI ETF (前 KOSEF)

 

 ETF 기본정보

  • 최초상장일 : 2024-05-28
  • 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주)
  • 총보수 : 0.490%
  • 기초지수 : FnGuide 의료AI 지수 
  • 배당 : 상장이후 아직 배당 없음

 

출처 : 키움투자자산운용

 

더 자세한 정보는 키움투자자산운용의 공식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차트(ETF)

좋은 테마인데 매력적으로 느껴지지는 않는 차트입니다.

 

 

키움 의료 AI ETF

 


 

KIWOOM 의료AI ETF 구성종목

종목명 수량 비중 평가금액
삼성바이오로직스 102 21.61% 110,670,000
셀트리온 553 19.25% 98,599,900
루닛 891 12.34% 63,171,900
한미약품 240 11.79% 60,360,000
보로노이 400 7.90% 40,440,000
종근당 329 5.29% 27,109,600
대웅제약 171 4.67% 23,940,000
셀바스AI 902 2.67% 13,656,280
뷰노 444 2.31% 11,832,600
JW중외제약 508 2.30% 11,785,600
제이엘케이 786 1.41% 7,215,480
랩지노믹스 2,429 1.32% 6,752,620
딥노이드 594 0.92% 4,686,660
씨어스테크놀로지 318 0.91% 4,674,600
아이엠비디엑스 349 0.78% 3,978,600
노을 1,108 0.68% 3,506,820
샤페론 998 0.67% 3,428,130
신테카바이오 475 0.67% 3,410,500
셀바스헬스케어 592 0.58% 2,954,080
파로스아이바이오 337 0.56% 2,857,760
크라우드웍스 268 0.43% 2,202,960
토마토시스템 389 0.43% 2,225,080
모아데이타 902 0.25% 1,267,310
드림씨아이에스 297 0.17% 873,180

 

ETF 분석 포스팅을 하면서 이런 코멘트를 한적은 없는데.. 

시가총액이 너무 작은 ETF네요.. 

 

 

구분 루닛
기업
개요
암 진단 관련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인 Lunit INSIGHT, 암 치료 관련 이미징 바이오마커 솔루션인 Lunit SCOPE 보유. AI 유방촬용술 영상분석 솔루션 대만 허가. 미국 바이오헬스케어기업 '가던트헬스'와 암치료용 신제품 출시
차트

 

구분 셀바스AI
기업
개요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국내 1호 인공지능 상장사, 음성인식, 음성합성, 자연어처리 등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함.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성인식 기반기술로 구현되는 인공지능 딥러닝 관련 제품 보유. 인공지능 브랜드 셀비(Selvy)' 런칭. 인공지능(AI) 기반의 필기 및 영상, 음성지능 응용소프트웨어 등의 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 음성인식(ASR) 및 음성합성(TTS) 솔루션 제품을 보유.
 
셀바스AI 계열사인 셀바스헬스케어는 20AI 의료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미국의 울트라사이트와 합작법인(조인트벤처·JV) 설립 계약을 체결
 
차트

 

구분 뷰노
기업
개요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솔루션 업체. 국내 최초 인공지능 의료기기 업체로서 현재까지 국내 최다인 5개의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음.
주요 제품은 VUNO Med-BoneAge(영상), VUNO Med- DeepASR(음성), VUNO Med- Chest X-ray(영상), VUNO Med- DeepBrain(영상), VUNO Med-Denta(영상) VUNO Med 솔루션임.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가 국내 의료AI 업계 최초로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으로부터 선진입 의료기술로 확정
차트

 

 

반응형